본문 바로가기
[나의여행방]

전통문화재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三千寺)에서

by 노란장미(아이다) 2018. 2. 20.


 

전통문화재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삼천사(三千寺)에서

  

 

*위치;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54길 127  (02)353-3004

 

*삼천사 연혁

삼천사는 서기 661년(신라 문무왕1) 원효(元曉)대사가 개산(開山)하였다.

1482년(조선 성종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과 북한지(北漢誌)에 따르면 3,000여명이

수도할 정도로 번창했다고 하여 사찰 이름도 이 숫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1592년(조선 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는 승병들의 집결지로 활용되기도 하였고,

임란 중에 소실 되었으나 뒷날 이 절의 암자가 있던 마애여래 길상터에

진영 화상이 삼천사라 하여 다시 복원하였다.

1970년대 현재의 주지 평산 성운 화상이 부임하여 경내에 위치한 마애여래입상이

천년 고불(古佛)임을 입증하여 보물로 지정받고 30여 년의 중흥 불사를 통해 대웅보전,

산령각, 천태각, 연수원, 요사채 등의 건물과 세존진신사리불탑, 지장보살입상, 종형사리탑,

관음보살상, 5층 석탑, 중창비 등을 조성하여 현재의 문화재 전통사찰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수많은 참배객들의 기도도량, 참회도량, 수행도량으로서 확고히 자리하게 되었다.

특히 세존진신사리불탑의 경우 한국 석탑의 새로운 양식으로 오대산 월정사 8각9층탑(국보 제48호)과

초전법륜지인 인도 사르나트아쇼까 석주 4두 사자상을 원형 그대로 접목한 탑신 15m크기로

삼천사 사부대중의 염원과 아쇼까 왕의 지극한 발원을 그대로 표현하였다.

그 밖에 사찰에서 2km 위쪽에 위치한 옛 삼천사 터에는 대형 석조(石槽)와 동종(銅鐘),

연화대좌(蓮花臺座), 석탑기단석(石塔基壇石), 석종형부도(石鐘形浮屠),

대지국사(大知國師) 법경(法鏡)의 비명(碑銘)이 남아 있는데,

그 중 동종은 보물로 지정받아 현재 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마애여래입상

보물 제657호인 마애여래입상은 삼천사 경내 대웅전의 위쪽으로 30m 지점 계곡의

병풍바위에 각인되어 있으며 통일신라 말 또는 고려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높이는 3.02m, 불상 높이는 2.6m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