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원추리[백합과,Hemerocallis thunbergii ] 의남(宜男), 지인삼(地人蔘), 누로과(漏蘆果)
*생약명은 훤초근(萱草根)이고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마주나며 2줄로 돋아 부채처럼 퍼지지만 거의 곧게 서며 위쪽이 뒤로 휘어져서 처진다. 길이 40~60cm의 선형 또는 선처럼 좁은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6~7월에 잎들의 한가운데에서 꽃줄기가 나와 1m쯤 자라면서 가지를 많이 친다. 꽃은 2~4송이씩 노란색 또는 황록색으로 피는데 오후 4시경부터 피기 시작하여 다음날 아침 11시경에는 거의 쓰러진다. 꽃의 지름은 약 7cm, 길이는 8~10cm이다. 꽃턱잎은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이고 밑 부분의 것은 길이 7.5cm쯤이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1~2cm이고 통 부분은 길이 1.3~2.8cm, 지름 7.5~10cm이다. 바깥 꽃덮이는 거꾸로 선 댓잎피침형이며 안쪽 꽃덮이는 주걱 모양으로 끝이 둔하고 약간 패인다. 수술은 6개이며 꽃잎보다 짧다. 암술대는 수술보다 길다. 열매는 9월에 길이 2.5~3.8cm인 거꿀달걀꼴의 삭과가 달려 익는데 끝이 둔하며 약간 패이고 밑 부분이 갑자기 좁아진다. 씨는 검은 타원형이며 광채가 있고 길이는 6mm쯤이다. 특징및 사용방법 뿌리줄기는 짧고 둥근 추 모양의 굵은 덩이뿌리인데 여기에서 끈 같은 굵은 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위쪽에 댓잎피침형의 꽃턱잎이 있다. 노란 꽃이 핀다고 해서 '노랑원추리' 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효능 주로 심장·비장·방광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장보호, 대하증, 변혈증, 비뉵혈, 생남약, 소변불통, 소염제, 소종양, 수종, 어혈, 월경불순, 유방염, 유즙분비부전, 음종(남성외음부부종), 이뇨, 출혈, 황달 [출처;익생양술대전] *인천 옹진군 백령도 두무진에서 담아온 것이다 |
[꽃&야생화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