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야생화방]

진달래

by 노란장미(아이다) 2017. 4. 13.





진달래[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var. mucronulatum ]

                                                                  


*꽃말;절제, 청렴, 사랑의즐거움 


*키는 2~3m 정도 자란다. 타원형 또는 피침형의 잎은 어긋나는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는 조그만 비늘조각들이 빽빽하게 나 있다.

 분홍색의 꽃은 잎이 나오기 전인 4월부터 가지 끝에 2~5송이씩 모여 피는데,

 통꽃으로 꽃부리 끝은 5갈래로 조금 갈라져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익는다. 진달래는 한국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개나리와 함께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나무의 하나로 사랑받아 왔는데, 봄에 한국의 산 어디에서나 꽃을 볼 수 있을

 만큼 널리 퍼져 있다.

 개나리가 주로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는 반면에 진달래는 약간 그늘지며

 습기가 약간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가지가 많이 달리기 때문에 가지치기를 해도 잘 자라며 추위에도 잘 견딘다.

 뿌리가 얕게 내리고 잔뿌리가 많아 쉽게 옮겨 심을 수 있다.

 꽃을 따서 먹을 수 있으므로 참꽃 또는 참꽃나무라고 부르는데,

 제주도에서 자라는 참꽃나무와는 다르다.

 꽃을 날것으로 먹거나 화채 또는 술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술을 빚어 먹을 경우 담근 지 100일이 지나야 맛이 난다고 하여 백일주라고도 하는데,

 한꺼번에 많이 먹지 말고 조금씩 먹어야 몸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달래를 두견화(杜鵑花)라고도 하는데, 이는 두견새가 밤 새워 피를 토하면서 울어,

 그 피로 꽃이 분홍색으로 물들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출처; 다음백과]


 이른 봄, 야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 중 하나이다.

 진달래는 김소월님의 시 <진달래 꽃>에도 들어있고, 대중가요에도 들어있을 만큼

 우리와 친숙하며 수천년동안 우리 민족의 얼과 풍류속에 녹아있는 순수한 우리 식물이기도 하다.

 자생지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보면 참 좋다.

 우리 주변에서도 정원수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식재되어 있는 곳을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 

 영산홍을 중심으로 한 개량 철쭉들이 너무 많이 확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학교나 공원 및 자연학습장 같은 곳을 중심으로 점차 식재를 늘려가야 한다.

 진달래는 예로부터 먹을 수 있는 꽃이라 하여 참꽃이라 불렸고 꽃을 이용하여

 화전을 만들거나 술을 담가 먹기도 한다. 진도의 홍주는 유명한 진달래술이다.

 하루종일 직사광선이 드는 곳보다는 반그늘지고 거름기가 많으며 약간 습기있는 곳을 좋아한다.

 추위나 음지에 강하지만 공해에는 다소 약한 편이다. 맹아력도 강하다.

 진달래과의 낙엽활엽수 관목이다. 온 산을 붉게 물들이는 모습이 보기에는 좋지만,

 척박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특히 산성토양에서 견디는 힘이 강하다.[출처;꽃과 나무 사전]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강촌 봉화산에서 담아온 것이다.


















'[꽃&야생화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첩풀또기  (0) 2017.04.14
만첩홍매화  (0) 2017.04.14
털진달래  (0) 2017.04.13
흰진달래  (0) 2017.04.12
겹동백나무  (0) 2017.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