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서울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원래 이름은 숭례문이며, 남쪽에 있다고 해서 남대문이라고도 불렀다.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태조 4년(1395)에 짓기 시작하여 태조 7년(1398)에 완성하였다. 지금 있는 건물은 세종 29년(1447)에 고쳐 지은 것인데 1961∼1963년 해체·수리 때 성종 10년(1479)에도 큰 공사가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문은 돌을 높이 쌓아 만든 석축 가운데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을 두고, 그 위에 앞면 5칸·옆면 2칸 크기로 지은 누각형 2층 건물이다.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붕을 우진각지붕이라 한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부분에 장식하여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그 형태가 곡이 심하지 않고 짜임도 건실해 조선 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지봉유설』의 기록에는 ‘숭례문’이라고 쓴 현판을 양녕대군이 썼다고 한다. 지어진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서울 성곽 중에서 제일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
국보 1호 숭례문 화재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남대문 경찰서는 화재 원인이 방화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숭례문 화재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남대문 경찰서는 현장 주위에 차단막을 설치한 채 정밀 감식을 벌이고 있다. 방화인지 전기 누전 등 다른 이유 때문인지 정확한 화재 원인을 가려내기 위해서다.
불에 탄 숭례문
☞ 불에 탄 숭례문
★...10일 밤 숭례문에 화재가 난 가운데 긴급 출동한 소방대원들이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연합뉴스] ▒▒☞[출처]부산일보
☞ 재만 남아버린 '국보 1호' 숭례문
★...지난 10일 발생한 화재로 부분 붕괴가 이뤄진 국보 제1호 숭례문이 11일 잔해만 남은채 출근길 시민들을 맞이하고 있다.(연합뉴스) ▒▒☞[출처]매일신문
☞ '국보 1호를 잃은 슬픔'
★...화재로 부분 붕괴가 된 국보 제1호 숭례문 앞에 시민들이 놓고 간 국화꽃이 놓여 있다.(서울=연합뉴스)
★...11일 화마로 쓰러진 국보 1호 숭례문을 찾은 시민들이 안타까운 표정으로 흉물로 변한 숭례문을 지켜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출처]한국일보
☞ 숭례문아 미안해
★...(서울=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11일 오후 숭례문 화재현장을 찾은 초등학생들이 국보 1호 숭례문을 잃은 아쉬움을 글로 옮기고 있다. ▒▒☞[출처]한국경제
◑ [화보]화재로 붕괴 숭례문 100년전 모습 ◐
☞ 화재로 붕괴 숭례문 100년전 모습
★...2004년 10월 23일 도깨비 뉴스가 `100년전 남대문 동대문`이라는 제목으로 소개했던 남대문 동대문 인근 지역을 촬영한 사진들은 지금으로 부터 꼭 100년전 호주의 사진작가 조지 로스(George Rose)씨가 촬영한 사진들로 확인됐습니다.
▒▒☞[출처]도깨비뉴스
◑ [화보]숭례문의 어제와 오늘 ◐
☞ 숭례문의 어제와 오늘
★...설 연휴 마지막날인 10일 저녁 국보 1호인 숭례문에서 방화로 추정되는 큰 불이 나 1,2층 누각이 전소돼 무너져 내리는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숭례문의 어제와 오늘의 모습을 담았다
1910년 무렵 촬영된 남대문(南大門. 숭례문). 이미 양쪽 성벽은 헐려져 도로가 나 있다. 사진 출처는 '한국병합' 관련한 1910년대 일본측 사진자료집인 '일본의 조선'(日本之朝鮮. 有樂社. 도쿄). 사진 타이틀은 '경성 남대문'이며 그 설명은 "원래 양쪽에 성벽이 있고 중앙의 굴로 왕래했던 것으로 동물의 분뇨가 길에 넘쳐나 발을 디딜 곳이 없었으나 지금은 성벽을 허물고 따로 도로를 내서 이와 같이 멋지게 보존하고 있다"라고 했다 ▒▒☞[출처]충청일보
못지켜 죄송합니다’
☞ ‘못지켜 죄송합니다’
★...12일 오후 서울 숭례문 화재 전소 현장 앞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사죄의 뜻으로 헌화를 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출처]경향신문
☞ ` 죄송합니다.잘못했습니다'
★...12일 오전 숭례문 화재 전소 현장 앞에 누군가 갖다 놓은 ` 죄송합니다.잘못했습니다' 문구가 쓰여진 조화가 놓여져 있다. 국보 1호가 불에 탄 사실과 관련, 관계당국이 남 탓만 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들이 갖다놓은 조화에 쓰여진 `잘못했습니다'란 문구가 소중한 문화유산이 불타도록 방치한 것이 우리 모두의 잘못임을 일깨워주고 있다. / 연합뉴스
▒▒☞[출처]한국경제
◑ 숭례문 전소 붕괴… 국보 1호를 잃었다 ◐
☞ 안타깝고… 창피하고…
★...국보1호’를 잃은 국민의 슬픔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소실 2일째인 12일에도 숭례문 앞에는 조화가 쌓이고, 엎드려 죄스러운 마음을 전하려는 시민들이 줄을 이었다.(왼쪽) 이런 참담한 심경을 아는지 모르는지 일본인 관광객들이 환한 표정으로 전소된 숭례문을 배경으로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최흥수기자
▒▒☞[출처]한국일보
☞ 숭례문 방화 유력 용의자
★...숭례문 화재 사건의 유력 용의자 채모씨가 12일 오전 서울지방경찰청에서 남대문 경찰서로 이송되고 있다.
▒▒☞[출처]동아일보
☞ '숭례문 화재' 그 이후…
★...숭례문 감식작업 12일 낮 국보 1호 숭례문 화재 전소 현장에 대한 감식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서울=연합뉴스)
★...숭례문 잃은 아픔, 그림으로 승화시키는 화가 공진모씨 12일 오후 화가 공진모씨가 서울 숭례문 화재현장에서 국보1호 숭례문을 잃은 아픔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숭례문 화재현장 진입로 차단막 설치 12일 오후 한 삼성건설 관계자가 서울 숭례문 화재현장 진입로에 차단막을 치고 있다.(서울=연합뉴스)
★...'사랑해, 남대문아' 12일 오후 서울 숭례문 화재현장에 한 어린이가 숭례문을 의인화해 쓴 편지가 꽃다발 위에 놓여있다.(서울=연합뉴스)
★...숭례문 복원 구상도 문화재청이 제시한 숭례문 복원 구상도. 문화재청은 일제강점기에 숭례문 양측의 성벽이 잘라내어져 성곽 문루가 당당한 모습을 잃어버린 채 고립됐다며 이번 복원 과정에서 숭례문에 양 날개의 성벽을 달아주는 방안을 서울시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원래보다 1.5m 가량 올라와 있는 지표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일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서울=연합뉴스)
▒▒☞[출처]한국일보
국보1호 崇禮門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함.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4가에 위치한 조선 초기 한양의 성문.
서울 숭례문의 전경, 조선 시대 한양의 성문으로 남대문이라고도 ...
국보 제1호. 1396년(태조 5) 창건되어 1448년(세종 30) 개축했다. 조선왕조가 도읍을 한양으로 정한 뒤, 정궁인 경복궁의 방향에 의해 남문인 숭례문이 정문이 되었다. 풍수지리에 의해 편액도 다른 문들과는 달리 세로로 쓰여졌다. 이는 서울 남쪽에 있는 조산(祖山)인 관악산이 북쪽의 조산인 북한산보다 높고 산의 모양도 불꽃이 일렁이는 듯하여 관악산의 화기를 맞불로서 꺾기 위한 것이며, 오행에서 남쪽을 가리키는 예(禮)를 숭상한다는 의미를 담아 숭례문이라 이름했다. 1934년 일본이 '남대문'으로 문화재 지정을 했으나 1996년에 역사 바로세우기 사업의 하나로 일제가 지정한 문화재에 대한 재평가작업을 하면서 '숭례문'으로 명칭을 환원했다. 앞면 5칸, 옆면 2칸의 2층 건물인 이 문은 화강석의 무지개문을 중앙에 둔 거대한 석축 위에 세워져 있으며, 지붕은 우진각지붕으로 상하층 모두가 겹처마로 되어 있고 사래 끝에 토수(吐首)를 달았다. 추녀마루에는 잡상(雜像)과 용두(龍頭)를 두고, 양성한 용마루에는 취두(鷲頭)를 두었다. 2층인 이 문의 구조는 위층의 4모서리 기둥이 아래층까지 내려와 견고하게 결구되었으며, 위층 중앙에는 4개의 고주를 두었다. 다포계 형식의 공포를 얹은 이 문의 위층은 외삼출목, 아래층은 외이출목으로 구성되어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다포계 목조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조선 초기 건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 또 1962년 해체복원공사 때 발견된 상량문(上樑文)은 당시의 건축생산체계와 장인조직을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현존하는 성문 중 규모가 가장 크며 조선 초기 다포계 양식을 대표하는 건물이다.